본문 바로가기
52주 신고가 급등주

두산 AI와 원전 사업으로 신고가 돌파... 앞으로의 주가 전망은?

by 제우스박 2025. 3. 14.
반응형

주식시장에서 두산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는데요, 이러한 주가 상승 배경과 향후 전망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두산이 전자, 원자력, 로봇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두산 AI와 원전 사업으로 신고가 돌파 썸네일 이미지
두산 AI와 원전 사업으로 신고가 돌파

 

 


두산은 어떤 기업인가요? 주요 사업 영역 살펴보기


두산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기업 그룹으로, 지주회사인 ㈜두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열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주요 사업 영역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전자사업부(Electronic Business Group, BG)입니다. 이 부문에서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되는 동박적층판(CCL)을 생산하고 있어요.

특히 주목할 점은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에 납품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용 PKG CCL, 통신장비용 NWB CCL, 스마트폰용 FCCL 등이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소재와 5G 모듈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둘째, 원자력 및 에너지 사업을 두산에너빌리티를 통해 진행하고 있어요. 원자로 주기기 및 가스발전소 설비를 공급하며, SMR(소형모듈원자로) 분야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죠.


셋째, 로봇 사업인데요, 두산로보틱스를 통해 협동로봇 제조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시장 확대와 팔렛타이징 솔루션 성장에 집중하고 있어요.

 

 


최근 실적은 어떤가요? 재무지표로 살펴보는 두산의 건강상태

 

두산 실적 분석 도표 이미지
두산 실적 분석 도표

 


이 숫자들이 말해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우선 매출액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2021년 약 12.8조 원에서 2023년 약 19.1조 원까지 크게 늘었어요. 영업이익도 2021년 약 9,211억 원에서 2023년 약 1.4조 원으로 증가했죠.
하지만 아쉬운 점은 당기순이익이 2022년부터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2022년에는 약 5,812억 원, 2023년에는 약 6,126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어요.

 

다만 2024년에는 순손실 규모가 약 3,692억 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재무 상태가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주목할 만한 핵심 포인트를 더 살펴보면,


전자BG 부문이 급성장하고 있어요. 지난해 전자BG 매출은 사상 최대인 약 1조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두산 전체 매출의 약 73%를 차지한 것입니다. 매출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건 이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는 의미죠.


원자력 및 가스발전 수주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수주 잔고를 약 15조 원까지 늘렸으며, 올해도 체코 원전 등 핵심 프로젝트를 통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요.


부채비율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룹 차원의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어요. 이는 장기적으로 회사의 경영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왜 갑자기 주가가 급등했을까요?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 분석


기업 내부 요인

 

1. 전자BG 부문의 놀라운 성과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엔비디아와의 관계입니다.

두산이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 사용되는 CCL 독점 공급자로 선정되면서 매출이 급증했어요.

올해 엔비디아향 매출은 분기당 약 1,500억 원으로 추정되며, 연간 기준으로는 약 6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매우 큰 숫자죠!


더불어 DDR5와 GDDR7 등 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에 착수하면서 미래 성장 가능성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시장 선점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입니다.

 

2. 원자력 사업의 글로벌 확장


미국 SMR 설계 업체들과 핵심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특히 체코 원전 프로젝트 수주는 올해 실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요. 원자력은 장기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3. 로봇 사업의 성장세


두산로보틱스는 올해 북미 시장에서 팔렛타이징 솔루션 매출을 전년 대비 약 64%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서비스 솔루션 부문에서는 무려 251%라는 놀라운 성장을 기대하고 있죠. 이러한 고성장은 회사의 미래 가치를 높이는 요인입니다.

 

 

 

외부 환경 요인

 

1. AI 산업의 폭발적 성장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와 AI 가속기 수요 증가로 인해 관련 소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요.

이는 두산의 전자BG 부문에 직접적인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AI 산업은 이제 시작 단계로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을 것입니다.

 

2. 원전 정책의 변화


미국과 유럽에서 원전 확대 정책이 강화되면서 SMR 기술과 관련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요.

한국 정부 역시 청정에너지 확대 계획을 발표하며 두산에너빌리티의 실적 개선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강화되는 추세라 원전 산업의 전망이 밝아지고 있는 것이죠.

 

 


주요 이벤트


자사주 소각 결정: 두산은 최근 약 3천6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했어요. 이는 주주 가치를 높이는 정책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업 확장 계획 발표: 충북 증평 공장 증설 검토와 신규 고객 확보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는 계획을 발표했어요. 이러한 미래 지향적인 전략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은 것으로 보입니다.

 

증권사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요? 투자의견 종합


최근 주요 증권사들은 두산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이 많아요.
DS투자증권은 목표가를 45만 원으로 유지하며 'Buy'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BNK투자증권도 목표가를 45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Buy' 의견을 냈어요.
대신증권은 목표가를 42만 원으로 상향하고 'Buy'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증권사들이 투자의견을 상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로 전자BG 부문의 실적 개선과 자회사 지분 가치 상승 때문이라고 해요. 특히 AI 산업 확장이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단순히 현재의 실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죠.

 

 


주가 차트로 보는 기술적 분석


두산의 주가 차트를 통해 중기 및 단기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두산 주봉 차트 이미지
두산 주봉 차트

 

두산 일봉 차트 이미지
두산 일봉 차트

 

 

중기 주봉 차트 분석


2023년 말부터 두산의 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장기 추세선 위에서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요.

현재 가격은 장기 고점 대비 약간 낮은 위치에 있지만, 여전히 상승 추세선 위에 있어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봉 차트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승했다는 점인데요, 이는 매수 세력이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실적 개선과 함께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기 일봉 차트 분석


최근 주가는 신고가인 38만 6천 원을 기록한 이후 조정을 받으며 현재 31만 3,500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요.

약 18.7%의 하락이 있었던 셈인데요, 이는 단기적으로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나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봉 차트에서는 RSI(상대강도지수)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며 중립 영역으로 진입했는데, 이는 어느 정도 조정이 이루어졌다는 신호로 볼 수 있어요. 단기적으로는 추가 하락 압력이 있을 수 있지만, 주요 지지선에서 안정을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두산의 투자 미래는 밝을까요?

 

두산은 AI와 원전이라는 두 가지 큰 트렌드를 모두 잡은 기업입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 사용되는 CCL 독점 공급자로 선정된 것은 매우 중요한 성과죠. 원자력 부문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2022년부터 당기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할 부분이에요.

영업이익은 증가하지만 순이익이 적자라는 것은 비경상적인 손실이나 금융 비용이 크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재무 상태가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최근 주가는 상당히 오른 상태로, 추가 상승 여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향후 실적 발표와 글로벌 시장 변화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투자 시에는 리스크 관리와 함께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두산은 미래 산업의 핵심 영역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라는 점에서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은 자신의 투자 성향과 기간에 맞게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