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욕증시 국내증시 시황

뉴욕 증시 마감 시황 -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혼조세 1022

by 제우스박 2024. 10. 22.
반응형

뉴욕증시 마감 시황
뉴욕증시 마감 시황

 

뉴욕 증시 마감 시황: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혼조세

 

뉴욕 증시는 10월 21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S&P 500 지수는 하락한 반면, 나스닥 지수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날 시장은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를 보였으며,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이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요 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344.31포인트(0.80%) 하락한 42,931.60에 마감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10.69포인트(0.18%) 하락한 5,853.98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50.45포인트(0.27%) 상승한 18,540.01로 마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S&P 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중 기술 업종만이 0.93% 상승했고, 나머지 10개 업종은 모두 하락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업종은 2.08%, 헬스케어 업종은 1.19%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시장 동향:

이날 시장의 주요 관심사는 이번 주 발표될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었습니다. S&P 500 지수 구성 기업 중 약 1/5에 해당하는 114개 기업이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테슬라, 코카콜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채 금리 상승이 투자 심리를 압박했습니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17%까지 상승하며 12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고용 시장의 회복력이 강하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었습니다.

 

엔비디아 AMD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엔비디아 AMD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주목할 만한 종목:

1. 엔비디아(NVDA): 주가가 4.14% 상승하며 나스닥 지수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3조 5,250억 달러까지 증가해 애플(3조 5,950억 달러)에 근접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엔비디아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2. 보잉(BA): 주가가 3.11% 상승했습니다. 5주째 이어진 기계공 노조 파업이 새로운 임금 협상안 타결로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3. 스피릿 에어라인즈(SAVE): 주가가 53.06% 폭등했습니다. 경영난으로 파산보호 신청 가능성이 제기되었던 스피릿은 U.S.뱅코프와 부채 상환 기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 이로 인해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11억 달러 규모의 로열티 채권을 재융자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습니다.

 

주요 시장 지표: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17%까지 상승하며 12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고용 시장의 강세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주 전망:

이번 주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집중되어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테슬라, 코카콜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S&P 500 지수 구성 기업의 1/5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와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주목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리하면:

10월 21일 뉴욕 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존스와 S&P 500 지수는 하락한 반면, 나스닥 지수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이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엔비디아와 같은 기술주의 강세가 나스닥 지수를 지지했습니다.

 

이번 주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집중되어 있어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와 함께 경제 지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