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우스박입니다. 오늘은 최근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KNN(058400) 주식에 대해 심층 분석해 보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급변하는 정치 테마주의 움직임 속에서 KNN의 주가 방향성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부산·경남 대표 방송사 KNN
KNN은 1994년에 설립되어 2005년 부산방송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경남 지역의 대표적인 민영방송사업자입니다.
특별한 점은 부산·경남 지역의 672만 시청자를 단일방송권으로 보유한 유일한 방송사업자라는 것이죠. 지상파 TV 및 라디오 방송과 광고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SBS와 프로그램 공급 협약을 맺어 방송 편성 시간의 약 70%를 SBS 프로그램으로 방영하고 있습니다.
KNN은 콘텐츠 제작 및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KNN 미디어플러스와 ㈜KNN미디어플러스경남, 그리고 부동산 시설관리 업체인 ㈜KNN 디앤씨를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성을 보면 TV광고가 43.77%, 프로그램 협찬 등이 17.88%, 문화사업이 15.10%, 용역이 12.53%, 기타가 10.72%를 차지하고 있어 광고 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자체 제작 프로그램인 '건축오디세이 신들의 집'이 2022년 제34회 한국 PD 대상 지역특집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고, '과학으로 본 허황옥 3일'이 2022년 한국민영방송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프로그램 제작 능력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실적 및 재무분석: 안정적 성장세, 우수한 재무구조
분기 | 매출액(억원) | 영업이익(억원) | 당기순이익(억원) |
2024. 4Q | 233 | 17 | 22 |
2024. 3Q | 154 | 2 | 11 |
2024. 2Q | 187 | 24 | 38 |
2024. 1Q | 115 | 1 | 1 |
KNN의 재무상황을 살펴볼까요? 2021년 기준 매출액은 649.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98.8억 원(이익률 15.2%), 당기순이익은 91.9억 원(이익률 14.1%)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TV광고부문의 안정적인 매출에 힘입어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4년 9월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5.2%, 당기순이익은 12.7% 감소했습니다. 매출 증가와 판관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작비 등 매출원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재무구조는 매우 탄탄한 편으로, 2021년 말 기준 부채비율이 7.7%, 자기자본비율이 92.9%에 달하며 무차입 경영을 지속하고 있어 재무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주당 230원의 고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도 4.5%대를 유지하고 있어 배당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가 급등 배경: 윤석열 파면과 정치 테마주로서의 부각
최근 KNN 주가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홍준표 관련주로서의 연관성
KNN이 홍준표 대구시장 관련 주식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홍준표 시장이 과거 경남도지사를 지냈던 지역과의 연관성 때문입니다.
부산·경남 지역을 기반으로 방송 사업을 영위하며, 홍준표 시장의 정치적 기반인 지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정치 테마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의 영향
특히 최근에는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정치 테마주들이 극심한 등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 관련 주식들이 급락한 반면, 차기 유력 대권 주자와 관련된 주식들은 급등했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 관련주인 경남스틸(30.00%), 삼일(21.12%), 한국선재(24.71%) 등이 상승했고, KNN도 이와 연계되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4월 4일 KNN의 종가는 948원으로 전일 대비 12.19% 상승했습니다. 이는 탄핵 정국에서 미디어(방송/신문) 테마가 부각된 영향도 큽니다. 탄핵 정국이 장기화되면서 뉴스 수요가 증가하고, 미디어 업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차트 기술적 분석: 단기 급등 이후 변동성 주의


KNN의 주가 차트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보입니다. 2020년부터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던 주가는 이후 3년에 걸쳐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고, 2023년 말에 반등하는 듯하다가 다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일봉 차트를 보면 4월 4일 기준으로 KNN의 종가는 948원으로, 20일 이동평균선(773.75원)과 60일 이동평균선(791.8원) 모두를 상향 돌파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상승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지만, 아직 이동평균선이 역배열 상태(20일선이 60일선 아래에 위치)라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
주봉 차트에서도 단기적인 반등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뚜렷한 추세 전환 신호는 아직 보이지 않습니다. 지지선은 920원 근처, 저항선은 직전 고점인 1000원 ~1100원 구간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향후 이 구간에서의 가격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전략으로는, 단기 매매 시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이 올라오는 800원 근처를 지지 라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 20일 선이 무너질 경우 손절로 대응하는 게 좋을 듯하고, 1000원대를 지지하며 기간 조정을 보인 후 돌파한다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정치 이슈 전개와 방송 미디어 산업 전반의 뉴스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권사 투자의견: 정치적 불확실성 속 단기 대응 필요
증권사들은 KNN에 대해 구체적인 투자의견을 제시하고 있지 않지만, 정치 테마주의 특성상 단기적인 급등락이 예상됩니다. 정치 테마주는 특정 인물의 행보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OTT 서비스의 확대 및 모바일 시청환경으로의 전환, IPTV와 케이블 및 종합편성채널의 성장으로 지상파방송의 시장 지배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점은 중장기적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단기 모멘텀 활용, 중기 리스크 관리
KNN 주식의 향후 전망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현재 주가 급등의 주된 원인은 정치적 이슈에 따른 단기적 모멘텀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과 향후 정치적 상황 전개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정치 테마주로서의 상승 모멘텀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홍준표 시장과 관련된 정치적 이슈가 계속해서 부각된다면 주가 상승 여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탄핵 정국에서 미디어 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점도 긍정적 요인입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치 테마주는 단기 급등 후 급락 가능성이 높고, 지상파 방송사의 시장 지배력 약화라는 구조적 문제도 있습니다. 따라서 KNN은 중기 투자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더 적합한 종목으로 판단됩니다.
정리하면 KNN은 우수한 재무구조와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추고 있지만, 현재 주가 급등은 정치적 이슈에 따른 것으로 단기적 대응이 유리한 종목입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정치 테마주의 높은 변동성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매매 전략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2025.04.05 - [52주 신고가 급등주] - 콜마홀딩스, 미국 행동주의 펀드 '달튼' 진입으로 새로운 전환점 맞았나?
콜마홀딩스, 미국 행동주의 펀드 '달튼' 진입으로 새로운 전환점 맞았나?
요즘 화장품 산업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콜마홀딩스에 대한 이야기가 뜨겁습니다. 특히 지난 3월 말 콜마홀딩스 주가가 하루 만에 8% 넘게 급등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죠. 오늘은
010news.tistory.com
2025.03.30 - [52주 신고가 급등주] - 자연과환경 주가, 산불 복구 기대감으로 급등...향후 전망은?
자연과환경 주가, 산불 복구 기대감으로 급등...향후 전망은?
요즘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종목 중 하나가 바로 자연과환경(043910)입니다. 최근 경북, 경남, 울산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복구 작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
010news.tistory.com
2025.03.30 - [52주 신고가 급등주]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들썩이는 K-엔터 관련주 분석,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이브, 디어유, JYP엔터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들썩이는 K-엔터 관련주 분석,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이브, 디어유, JYP엔
오늘은 최근 뜨거운 이슈로 부상한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테마주들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급등한 모습이라 시기적으로 보면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010news.tistory.com
'52주 신고가 급등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저옵텍, 의료용 레이저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신고가 행진의 비밀 (0) | 2025.04.08 |
---|---|
저평가된 덴티움 주가, 행동주의 펀드 등장으로 재평가 받나? (0) | 2025.04.07 |
콜마홀딩스, 미국 행동주의 펀드 '달튼' 진입으로 새로운 전환점 맞았나? (0) | 2025.04.05 |
큐브엔터 주가 분석 : 한한령 해제 기대감과 대규모 유통계약으로 52주 신고가 달성 (0) | 2025.04.04 |
에스와이 주가, 모듈러주택 테마주로 급등하다! 안정성과 미래 성장성 분석 (0) | 2025.04.02 |